티스토리 뷰

웹 서비스 사용자/세션 정보

  • 사용자 ID : 보통 웹서비스에서는 등록된 사용자마다 부여하는 유일한 ID이다.
  • 세션 ID : 세션마다 부여되는 ID이다.
    • 세션 : 사용자의 방문을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것이다.
      • 과거에는 사용자가 로그인 후 로그아웃 하거나, 또는  로그인 세션 정보가 만료되면서 로그아웃 될 때까지를 하나의 세션으로 보기도 했다. 이 방식의 문제점이 생기면서 요즘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쓰는 세션 정의가 있는데, 그것을 따라 한다.
        • 사용자가 30분이상 쉬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, 사용자가 외부 링크(보통 광고)를 타고 다시 서비스를 방문하면 새로운 세션을 연다. 광고등은 마케팅과도 연관되어 있어서, 다른 의도를 갖고 있다고 보고 새로운 세션을 연다.
        • 사용자가 방문 후 30분간 interaction이 없다가(세션을 닫는다) 뭔가를 하는 경우 새로 세션을 생성한다.
    • 한 명의 사용자는 여러 개의 세션을 가질 수 있다.
    • 보통 세션은 세션을 만들어 낸 점점(경유지)를 채널이란 이름으로 기록해둔다.
      • 마케팅 관련 기여도 분석을 하기 위해서이다. (사용자 A가 구글광고를 통해 서비스로 넘어왔다. 세션이 생긴다. 세션에는 구글 검색이라고 저장된다.) -> 마케팅 채널별 기여도를 파악할 수 있다.
    • 세션 생성 시간도 기록한다.
    • 즉 세션을 저장할 때에는 사용자 ID, 세션 ID, 채널(접점), 시간 등이 저장된다.
  • 사용자/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분석과 지표 설정이 가능하다.
    • 정보 수집 -> 백엔드 개발자 (MySQL 같은 프로덕션 DB에 저장)
      정보 이용 -> 데이터 엔지니어 (RedShift 같은 Data Warehouse에 저장, 데이터 시각화)
      전략 확보 -> 마케터 (어느 광고가 효과적인가)
728x90
반응형
댓글
반응형
250x25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